복 날 촌 닭 백숙
하지 다음 제 3경일(慶日)인 초복, 제 4경일인 중복, 입추 후 제1경일인 말복이 되는 날을 말하는데 이 기간은 일년 중 가장 더운 날이라 하여 더위를 피하기 위해 술과 음식을 마련해 계곡이나 산에 놀러가는 풍습이있다
우리네 옛 선조들의 멋을 흉내 내 보기나 하려는 듯 우리 일행은 작은 동네 나지막한 돌담길을 따라 어느 촌 집을 찾는다
뜰에 자유로이 풀어서 키운 장 닭의 쫄깃함은 옛 맛을 가져다 주고 자연의 섭리를 다 담고 익은 짱아찌와 묵은지
그들과 어울리는 백숙이 내 소중한 사람들을 생각 나게 한다 성주군 수륜면 학골의 복날 그림은 다시 그리움 이다
하지 다음 제 3경일(慶日)인 초복, 제 4경일인 중복, 입추 후 제1경일인 말복이 되는 날을 말하는데 이 기간은 일년 중 가장 더운 날이라 하여 더위를 피하기 위해 술과 음식을 마련해 계곡이나 산에 놀러가는 풍습이있다
우리네 옛 선조들의 멋을 흉내 내 보기나 하려는 듯 우리 일행은 작은 동네 나지막한 돌담길을 따라 어느 촌 집을 찾는다
쨍쨍 쬐어줘야 할 해는 오늘의 본분을 잊은건 지...쏟아 지는 비는 두무지 그칠 기미가 없다
뭉쳐 떨어 지는 굵은 낙수물이 낡은 고무통을 탈출 하는 것을 보고 있자니 빗물을 독에 모우던 고운 마음들이 떠오른다
가마솥이 비켜 난 자리에 위치한 작은 솥들이 저버린 기대의 의아함을 나란히 자리한 앙증맞음으로 달래 준다
마당 한켠에 앉은 장독대가 정겹다 어쩌면 이 빗소리에도 안 주인의 손맛을 담은 갖가지 짱아찌는 익어 가고 있겠지
어릴적 시골 할머니댁 큰 방에서 보았던 선반 실겅 툇문을 다시 보는 마음은 저절로 열리고 잡념이 빠져 나간다
툇문으로 들어 오는 바람은 비 맞은 풀 냄새를 실어 온다 그래도 눅눅하지 않는 방바닥은 나 마저 뽀송하게 한다
뜰에 자유로이 풀어서 키운 장 닭의 쫄깃함은 옛 맛을 가져다 주고 자연의 섭리를 다 담고 익은 짱아찌와 묵은지
그들과 어울리는 백숙이 내 소중한 사람들을 생각 나게 한다 성주군 수륜면 학골의 복날 그림은 다시 그리움 이다
'백합 일기 > 어떤 하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뽀송 뽀송 [빨래] 마르는 소리... (2) | 2011.08.30 |
---|---|
이는 바람에 [연잎]이 숨던 날 (2) | 2011.07.27 |
[우륵 박물관] - 악성 우륵을 만나다 (2) | 2011.06.30 |
[삼천포]가 왜 삼천포 인지... (6) | 2011.06.20 |
응원 메세지-아픈 그녀 (8) | 2011.06.14 |